국내 장기거주 결혼이민·귀화자 증가…사회관계망은 부족
국내 장기거주 결혼이민·귀화자 증가…사회관계망은 부족
  • 양정우
  • 승인 2019.05.02 12: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여가부 '다문화가족 실태조사' 결과…10년 이상 거주비율 10년전보다 12.7%p 늘어
한국 생활 어려움 '외로움' 많아져…다문화 자녀 '학교폭력' 피해·차별경험 늘어

국내 장기거주 결혼이민·귀화자 증가…사회관계망은 부족

여가부 '다문화가족 실태조사' 결과…10년 이상 거주비율 10년전보다 12.7%p 늘어

한국 생활 어려움 '외로움' 많아져…다문화 자녀 '학교폭력' 피해·차별경험 늘어

다문화 학생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서울=연합뉴스) 양정우 기자 = 10년 이상을 한국에서 장기 거주한 결혼이민자·귀화자 비율이 10년 전보다 많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에서 오랫동안 살면서 생활 적응력은 높아졌지만, 외로움을 타거나 도움·의논할 상대가 없다는 비율도 증가하는 등 사회관계망은 부족한 것으로 파악됐다.

여성가족부는 2일 이런 내용을 담은 '2018년 전국 다문화가족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전국 다문화 가구로 추정되는 가구 수는 총 30만6천995가구로 파악됐다. 이중 혼인 귀화자를 포함한 결혼이민자 가구가 85.7%, 혼인 외 방법으로 한국 국적을 취득한 기타귀화자가 14.3%였다.

거주 지역별로는 경기가 28.7%, 서울 20.4%, 인천 6.5%로 수도권 거주비율이 55.6%로 절반을 넘었다.

다문화가족의 평균 가구원 수는 2.92명으로 전체 국민의 평균 가구원 수인 2.47명보다 많았다. 이들 가족의 평균 자녀 수는 0.95명으로 파악됐다.

가족 유형별로는 부부와 자녀로 이뤄진 가족이 34.0%로 가장 많았다. 이어 부부 가구가 17.0%, 1인 가구 14.4%, 확대가족 12.3%, 한부모 가족은 12.2%였다.

월평균 가구 소득은 200∼300만원 미만이 26.1%, 100∼200만원 미만 22.4%, 300∼400만원 미만 20.1%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10년 이상을 한국에서 지낸 결혼이민자·귀화자 비율은 전체 60.6%로 2015년 조사 때(47.9%)보다 12.7%포인트 늘어났다. 반면 10년 미만 국내 거주자는 같은 기간 대비 2.8%포인트 낮아졌다.

한국 생활에 어려움을 묻는 질의에 '없다'고 답한 비율은 29.9%로 가장 높았다. 이는 2015년 조사 때(25.7%)보다 4.2%포인트 늘어난 것이다.

한국 생활의 어려움으로 꼽은 경제적 어려움(26.2%), 언어문제(22.3%), 생활방식, 음식 등 문화 차이(18.8%)도 2015년 때보다 모두 낮아졌다.

다만, 외로움(24.1%)을 꼽은 비율은 2015년 때(18.5%)보다 5.6%포인트 증가해 이민·귀화자들이 사회관계망을 형성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혼이민자·귀화자 중 '여가·취미생활을 같이할 사람이 없다'고 답한 비율은 40.7%, '몸이 아플 때 도움 요청할 사람이 없다'도 38.5% 등으로 파악됐다.

아울러 '참여하고 싶은 모임이 없다'는 비율도 48.5%로 2015년 대비 14.6%포인트 증가했다.

다문화 청소년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결혼이민자·귀화자의 자녀를 보면 본격적인 청소년층에 진입하는 만9∼11세가 45.8%로 가장 많았다. 이어 중학교 학령기인 만12∼14세 24.1%, 고등학교 학령기인 만15∼17세 16.4%, 만18세 이상 13.8%로 조사됐다.

만9∼24세 다문화가족 자녀 중 국내에서만 성장한 자녀는 83.8%로, 외국에서 주로 성장한 자녀 6.9%를 크게 웃돌았다. 15세 이상 다문화가족 자녀 중 비재학·비취업 청소년(NEET) 비율은 10.3%였다.

다문화가족 자녀의 '부모와 관계 만족도'를 보면 어머니 3.82점, 아버지 3.59점이었다. 이는 국내 전체 청소년(어머니 4.36점, 아버지 4.00점)보다 낮은 수준이다.

다문화가족으로서 자긍심은 3.48점으로 2012년 실태조사 이후 점차 증가하는 추세다. 자아 존중감도 3.87점으로 2015년 3.81점보다 높았다.

하지만 학교폭력을 경험한 자녀는 8.2%로 2015년 5.0%보다 크게 늘었고, 최근 1년간 차별을 경험했다는 비율도 9.2%로 2015년 6.9%보다 증가했다.

이번 조사 책임을 맡은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최윤정 부연구위원은 "결혼이민자·귀화자는 한국어, 생활문화 등 초기 적응에는 안착했지만, 정착단계로 접어들면서 다양한 사회적 관계를 발전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다문화가족이 진정한 이웃으로 뿌리내리기 위해서는 사회 전체의 포용 노력이 필요한 시점임을 보여준다"고 덧붙였다.

여가부는 이번 조사결과에서 나타난 다문화가족의 장기정착 경향을 반영해 관련 정책을 전환할 계획이다.

또 학령기로 접어든 다문화가족 청소년들이 사회 일원으로 안정적으로 성장하도록 '이주배경 아동·청소년 지원방안'을 마련할 방침이다.

지원방안에는 다문화 수용성 제고, 청소년기의 심리·정서 위기 지원, 학교생활 적응 및 진로역량 강화 등이 포함될 예정이다.

eddie@yna.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